올해 파종할 논콩의 주요 품종과 특성 그리고 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.
논콩 재배 주요 품종 특성
논 토양은 수분이 많고 비옥하여 과습으로 인한 피해와 쓰러짐에 강하며, 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야 한다.
첫 번째 달리는 꼬투리가 높아 기계수확 시 손실이 적어야 하고 수확시기에 꼬투리가 터지지 않는 품종을 선택한다.
선풍콩과 대찬콩 품종은 기후변화에 적응성이 좋으며, 병 저항성이 높고 습해에도 강해 논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.
맨 아래 꼬투리가 달리는 위치가 높아 기계수확에도 유리하다.
주요 품종 특성
장류용 및 두부용 품종
선풍콩
장류 및 두부용으로 황색 대립(25.9g/100립)이며 중만생종 특성의 콩 품종이다.
기계화 적응성과 수량성이 높은 품종으로 꼬투리 달림이 18cm로 높고, 성숙기에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는다.
수량성은 340kg/10a 수준으로 대원콩 대비 21% 향상된 다수성 품종이다.
초기 생육량이 많은 편으로 파종기가 빠르거나 재식거리가 좁을 경우 쓰러질 우려가 있다.
6월 상순 파종 시 재식거리를 넓게, 6월 하순 파종 시 표준재식거리로 파종할 수 있도록 한다.
대찬콩
장류 및 두부용으로 황색 대립(24.5g/100립)이며 중만생종 특성이다.
선풍콩 대비 성숙기가 6일 정도 빨라 보리 이모작 등 작부체계에 활용성이 높은 품종이다.
성숙기가 선풍콩 보다 빠르면서도 수량성이 330kg/10a 수준으로 다수성 품종이다.
종실은 구형으로 대원콩과 유사하며,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다.
성숙기에 가을 기상이 건조할 경우 상단부에 있는 꼬투리가 터지기 쉬워 적기에 수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대원콩
장류 및 두부용 품종으로 줄기 길이는 78㎝로 중경종이나 쓰러짐에는 비교적 강하다.
수량성은 293㎏/10a으로 100립중은 25g 내외로 대립종이며 성숙기는 10월 상중순으로 다소 늦은 중만생종 품종이다.
콩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강하고 괴저병에는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.
수확기에 콩알이 튀지 않는 성질(내탈립)이 매우 우수해서 기계 수확 시 손실이 적은 품종이다.
재배 시 과도한 배게심기(밀식)와 과다한 비료주기(시비)는 피하는 것이 좋고 중북부지방에서는 너무 늦게 파종하면 성숙기간에 서리 피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.
선풍콩
장류 및 두부용으로 100립중이 25.9g으로 대원콩에 비하여 1.7g 무거운 대립종이다.
대원콩보다 익을때(성숙기)가 5일 정도 늦은 중만숙종으로, 불마름병과 바이러스병에 강하고 콩알의 튐(탈립)에도 매우 강하다.
수량성은 대원콩보다 20% 정도 높은 340㎏/10a이다.
적응지역은 중남부 2모작 지대(충남북, 전남북, 경남북)이다.
태광콩
장류 및 두부용으로 100립중은 25g으로 대립종이며, 성숙기는 10월 5일로 중만생종이다.
콩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강하고 괴저병은 중간 정도이며 재배 시 비옥지에서 과도하게 좁게 심으면 쓰러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정하게 심는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.
나물용 콩 품종
아람콩
나물용 콩 품종으로 황색 소립(9.9g/100립)이며 중만생종으로 키가 크면서도 쓰러짐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.
수량성이 359kg/10a으로 풍산나물콩 대비 12% 증수되는 다수성 품종이다.
착협고가 높고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아 기계수확에 용이하며 알맹이가 작아 콩나물 수율이 높다.
성숙기가 늦은 편으로 적기에 파종될 수 있도록 유의하고 원료의 콩나물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린재 및 곰팡이성 병 방제가 잘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
풍산나물콩
나물용 콩 품종으로 줄기 길이는 60㎝ 내외이고 100립중이 10.7g인 소립 품종이다.
성숙기는 10월 상순이며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병과 괴저병에 강하고 수량성은 은하콩과 대등하나 콩나물 수율이 은하콩 보다 높다.
재배상 유의할 점은 과도한 배게 심기(밀식)와 다비재배는 피하는 것이 좋다.
팥 품종
아라리 팥
앙금 가공용 팥 품종으로 팥앙금의 향과 맛이 우수하고, 암적색 종피에 100 립 중은 13.1g으로 가벼운 편이다.
수량은 205kg/10a이며 직립형으로 재배하기 쉽고 쓰러짐에 강하여 기계수확에 용이하다.
파종시기를 앞당기면 줄기가 덩굴성으로 변화하여 포장 도복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기에 파종할 수 있도록 유의하고, 중산간지대에서는 파종량을 표준재배보다 다소 적게 하는 것이 도복 방지에 유리하다.
콩명나방 등 해충이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, 개화기 전후로 충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.
지금까지 콩과 팥에 알아보았다.